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278

연차수당 주휴수당 야간 연장수당 지급기준 및 조건과 계산 방법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업주는 소정의 근무시간 및 근무일수를 제공한 근로자에게 연차수당, 주휴수당, 야간수당, 연장수당 등을 지급해야 합니다. 오늘은 근로자들이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각종 수당들의 지급기준 및 발생조건과 그 계산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차수당 1. 근로기준법 제 60조 1항에 따라 사업주는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줘야 합니다. 2. 또한 1년 미만 근로자 혹은 1년에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만 근시 때마다 1일의 유급휴가를 줘야 합니다. 3. 사업주는 3년 이상 계속해서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근속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줘야 합니다. 근속 년수 휴가 일수 1년 미만 11일 1년 이.. 2023. 5. 17.
고용보험가입기간 180일? 6개월? 피보험자단위기간 계산 조회 방법 실업급여 조건 중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 이상일 것'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180일이라 해서 단순히 6개월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오늘은 그 180일이라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또 18개월 간이란 어떻게 계산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직일 이전 18개월동안 고용보험가입기간이 180일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말은 정확하게는 피보험자단위기간이 180일이 넘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실 수도 있는 부분인데, 180일을 단순히 내가 가입한 고용보험 기간이 6개월이 지났으면 충족되겠지 하시면 안 됩니다. (보통 6~7개월간의 가입기간일 경우 180일이 모자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정확한 피보험.. 2023.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