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7

배추요리 종류 겉절이 배추볶음 된장무침 알배추찜 배추밥 배추전 남는 배추 활용한 배추요리는 배추겉절이, 배추볶음, 배추된장무침, 알배추찜, 배추밥, 배추전, 배추된장국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배추는 열량이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다른 야채에 비해 보관기간도 길어, 딱히 반찬이 생각나지 않을 때 쉽게 요리할 수 있는 식재료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배추요리의 특징과 만드는 법 등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추 겉절이 보통 김치는 기본적으로 충분한 절임과정 이후에 다시 양념하여 먹는 음식이지만, 겉절이는 절임 과정을 짧게 하거나 생략하여 채소 표면 부분만 소금물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한 후에 양념해 먹는 음식입니다. 비교적 간단하게 만들 수 있지만, 의외로 역사가 오래되지는 김치로, 조선 후기에 발효를 하지 않고 간단히 무쳐먹는 김치의 일종으로 시작됐습니.. 2023. 11. 22.
짬뽕 종류 굴 삼선 볶음짬뽕 백짬뽕 차돌 나가사끼 고추짬뽕 특징 유래 짬뽕은 채소와 해산물, 육류 등을 볶아 육수로 끓여낸 얼큰한 국물에 면을 넣어 만든 한국식 중화요리를 말합니다. 오늘은 고기육수에 각종해산물과 채소를 넣은 일반짬뽕을 시작으로 굴짬뽕, 삼선짬뽕, 볶음짬뽕, 백짬뽕, 차돌짬뽕, 나가사끼짬뽕,고추짬뽕 등 다양한 짬뽕의 종류와 특징 및 그 유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짬뽕의 유래 짬뽕의 유래는 몇몇 설이 있는데, 군산시에서 화교들이 운영하는 중국집에서 팔던 '산둥식 초마면'에 고춧가루를 넣어 매운 초마면을 만들었는데, 이게 개운한 해장음식을 찾던 군산 시민들에게 인기를 타 오늘의 짬뽕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 중국 푸젠성의 '탕육사면'에서 기원하여 일본 화교를 한 번 거치고 한국 화교들을 통해 정착해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2023. 11. 21.
치질 수술 후 주의사항 재발 방지를 위한 관리법 술 담배 운동 운전 치질 수술은 받기까지의 과정도 힘들지만, 수술 후의 관리 또한 중요한데, 그 이유는 수술 후에도 한동안 통증에서 벗어나기 힘들고, 재발 비율도 높기 때문입니다. 보통 수술 후 4주~6주 정도의 회복기간이 필요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오늘은 치질 수술 후의 전반적인 관리법과 술, 담배, 운동, 운전 등은 언제부터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치질 수술 후 주의사항 보통 치질 수술 후 1주일 정도는 배변 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에 지나며 차츰 좋아지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가장 힘든 부분이 수술 후 첫 배변활동 시인데, 정말 참기 힘든 고통을 이겨내야 할 수 도 있습니다. - 배는 더부룩한데 배변활동을 하기 힘들 경우에는 항문 주위를 마사지해 주거나 비데를 수차례.. 2023. 11. 21.
짜장면 종류 간짜장 삼선 유니 쟁반 사천 유슬짜장 특징 차이점 유래 짜장면은 치킨, 피자 등과 함께 배달음식에서 빠질 수 없는 음식으로, 한때는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는 귀한 음식이었던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매우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짜장면의 종류를 제대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지 않은 것도 같아, 오늘은 짜장면의 유래와 간짜장, 삼선짜장, 유니짜장 등 그 특징과 차이점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짜장면의 유래 짜장면은 중국의 산둥반도 지역의 가정식이었던 '자장미옌'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하여 만들어진 음식입니다. 중국식 작(炸) 장(醬) 면(麵)이 한국식 발음으로 변형된 말로 많은 유래와 조사 등으로도 나타났듯이 실제로 중국의 작장면과 한국의 짜장면은 다르게 변형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지금도 베이징에서는 라오베이징자장몐다왕 등 전.. 2023. 11. 21.
미나리 종류 물미나리 돌미나리 불미나리 특징 차이점 효능 손질법 미나리는 1년 내내 수확을 할 수 있지만 제철은 맛과 향이 더 진해지는 겨울철입니다. 미나리는 방향성 정유성분 때문에 미나리 특유의 향을 내며, 해충의 접근을 막는 식물의 방어 기제 역할도 합니다. 오늘은 논미나리라고도 불리는 물미나리, 밭미나리라고도 불리는 돌미나리, 그리고 야생미나리인 불미나리의 특징과 차이점 그리고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미나리(논미나리)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미나리는 물미나리로 논에 물을 가둬 재배하기 때문에 '논미나리'라고도 부릅니다. 줄기가 길고 잎이 연한 것이 특징이며, 전체적으로 녹색을 띱니다. 물미나리는 줄기 속이 비어 있어 식감이 질기지 않고 부드러워 주로 탕이나 전골등에 사용합니다. - 돌미나리나 불미나리를 가열 요리에 사용하게 되면 질겨서 먹지 못하는 경우도 있.. 2023. 11. 20.
까치와 까마귀는 길조인지 흉조인지 관련된 설과 습성 및 차이점 '까치까치설날'이란 동요는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본 익숙한 곡으로 무려 1924년에 만들어진 100년이나 된 동요입니다. 사실 왜 설날이면 까치가 떠오르게 된 것인지 궁금해질 수가 있는데, 오늘은 까치와 까마귀에 관련된 설들과 그 습성과 차이점 및 길조인지 흉조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까치 '까치 까치설날은 어제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라는 까치동요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동요입니다. 설날 하면 떠오르는 새가 바로 '까치'로 인식된지 오래이기 때문입니다. 이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까치 설'은 '작은설'이라는 뜻을 가진 '아치 설'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설이라고 합니다. 작다는 뜻의 '아치'라는 말이 세월에 따라 '까치'로 변형돼 정착했다는 건.. 2023.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