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능7

간장 만드는법 국간장 진간장 양조간장 노추 쯔유 용도 차이 마트에 가보면 다양한 종류의 간장들이 진열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여러 가지 재료를 첨가한 맛간장들도 많아 어떤 간장을 선택해야 할지 요리초보에게는 더욱 혼란이 가중될 수도 있는데요, 오늘은 진간장, 양조간장, 국간장, 노추(노두유), 쯔유 등의 특징과 용도,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간장 만드는 법1. 잘 띄운 메주를 먼지를 털어내고 흐르는 물에 재빨리 솔로 문질러 씻은 후 건져 햇볕에 2~3일 바싹 말려줍니다.2. 소금물을 풀어놓고 하루 정도 침전물을 가라앉혀 줍니다. 염도는 달걀을 띄워서 반쯤 잠기는 정도가 좋습니다.  3. 소독한 항아리에 메주를 넣고 침전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물을 부어줍니다. 물에 잠긴 메주는 물 위로 1~2cm 정도 떠오르면 적당합니다.수면 위로 나온 메.. 2024. 11. 8.
명태 종류 생태 동태 코다리 노가리 북어 황태 먹태 차이점 명태는 우리나라에서 그 상태에 따라 정말 다양한 이름이 있습니다. 명태의 성장에 따라, 말리는 방법에 따라, 보관하는 상태에 따라 생태, 동태, 북어, 황태, 코다리, 노가리, 백태, 흑태, 먹태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립니다. 오늘은 명태의 특징, 명태라는 이름의 기원, 상태에 따른 명칭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태머리와 입이 커서 대구(大口)라 불리는 대구과 물고기로 한류성 어종입니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러시아, 일본의 주요 수산물로 주낙이나 그물을 이용해 잡고 연중 대부분의 시기에 어획이 이루어집니다. 예로부터 제사와 고사, 전통혼례 등 관혼상제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생선으로 여겨졌으며, 상태, 잡힌 시기 및 장소, 습성 등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특징입니다.몸은 가늘고 .. 2024. 10. 2.
김 단백질 함량 김의 종류 돌김 곱창김 파래김 재래김 효능 김은 다른 해조류에 비해서 단백질이 많으며, 타우린, 비타민 함량도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마른 김 5매에 들어 있는 단백질은 달걀 1개분, 비타민A는 달걀 2개분에 해당합니다. 오늘은 김의 종류인 돌김, 곱창김, 파래김, 재래김, 김밥김 등 그 특징과 효능, 차이점, 영양성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김의 영양성분 1. 단백질 김은 해조류 중에서도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겨울에 수확한 김은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100g당 30~40g 정도의 단백질을 제공합니다. 마른 김 5매에 들어 있는 단백질은 계란 1개분, 비타민A는 계란 2개분에 해당합니다. 2. 미네랄 - 칼슘: 김은 칼슘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골다공증 예방과 뼈 건강을 지원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철.. 2024. 3. 22.
두릅 제철 종류 참두릅 개두릅 땅두릅 손질법 보관법 효능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해서 봄의 보약, 산나물의 왕이라 불리는 두릅은 4월 ~ 5월이 제철이며, 봄철 입맛을 돋우기에 아주 좋은 나물입니다. 오늘은 새순이 나는 곳에 따라 참두릅, 개두릅, 땅두릅으로 나뉘는 두릅의 종류와 효능, 손질법, 보관법 등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두릅 두릅은 일반적으로 4월에서 5월이 제철이나, 하우스 재배로 인해 빠른 시기엔 2월 말부터도 그 맛을 볼 수가 있습니다. 두릅은 씁쓸한 맛과 향이 특징이며, 예전에는 야생에서만 채취하였으나 그 수요가 늘어나면서 하우스 재배를 통해 봄에서 가을까지 맛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살짝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는 게 대표적이지만 요즘에는 튀김 또는 나물 등 여러 음식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참두릅은 .. 2024. 3. 5.
바지락 제철 해감법 손질법 고르는법 효능 바지락은 채집할 때 갯벌에서 호미로 긁으면 바지락 바지락 소리가 난다고 해서 바지락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바지락의 제철은 2월 ~ 4월로 봄철 지친 몸의 기력을 회복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오늘은 바지락 해감법, 손질법, 고르는 법,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지락 제철 바지락은 타우린 함량이 높아 피로회복과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와주며, 비타민 B 함량이 높아 구내염이나 몸의 상처를 회복시켜 주는 능력이 뛰어나고, 철분함량이 높아 빈혈예방에도 탁월한 식품입니다. 바지락 제철은 2~4월로 알려져 있지만 그중에서도 진짜 맛이 좋은 시기는 4월입니다. 그 이유는 갯벌 깊숙한 곳에서 겨울을 난 바지락들이 봄철이 되면 산란기를 앞두고 먹이 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때문인데, 산.. 2024. 2. 23.
해삼 종류 청해삼 홍해삼 흑해삼 백해삼 잘려도 죽지않는 신비한 특성 해삼은 약 5억 년 전부터 지구에 존재했다고 합니다. 말도 안 되게 오랫동안 멸종되지 않고 지금까지 살고 있는 생물 중 하나인데, 바로 뛰어난 재생력 때문입니다. 가운데를 정확히 잘라도, 입과 항문 부분을 잘라도, 죽지 않고 재생해 내는 놀라운 생명력을 보여 줍니다. 오늘은 다양한 해삼의 종류 및 잘려도 죽지 않는 해삼의 신비한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삼 종류 해삼의 제철은 10월~2월로 추운 겨울에 맛이 가장 좋으며, 영어로는 sea cucumber (바다오이), 일본에서는 나마코(바다쥐)라 부릅니다. 1. 청해삼 (청삼)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해삼이며, 청색이라기보다는 진녹색에 가깝습니다. 참해삼이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잡히지만 특히 서해의 풍부한 영양토인 갯벌에서 잡.. 2023.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