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노래미 종류 쥐노래미 놀래미 놀래기 임연수어 특징 구분법 차이점

by 로드킴 2023. 11. 30.
반응형

우리가 흔히 말하는 노래미는 쏨뱅이목 쥐노래미과에 속한 어류로서 흔히 식당이나 시장에서는 노래미라는 이름보다는 놀래미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고 지역에 따라 놀래기라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노래미는 흔히 쥐노래미를 칭하는 놀래미와 용치놀래기와는 엄연히 다른 어종으로 구분됩니다. 

 

노래미-종류
쥐노래미과 어종

 

노래미

노래미는 쏨뱅이목 쥐노래미과의 어종으로 지역에 따라, 노르매, 노랭이, 놀래기, 황석반어, 노래기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몸은 옆으로 납작하며 가늘고 길며 머리는 뾰족합니다. 

 

노래미는 쥐노래미와 함께 흔히 같이 통칭되기는 하지만 노래미는 두 가지 종으로 나뉩니다. 보통 식용으로 판매되거나 낚시 대상어가 되는 것은 거의 쥐노래미(놀래미)입니다. 

 

흔히 시장에서 부르는 '놀래미'라는 표현은 쥐노래미를 지칭합니다. 

 

대체적으로 잡히는 노래미는 그 크기가 작고 맛에서도 쥐노래미를 따라가지 못해 횟감보다는 매운탕용으로 사용되는 편입니다. 한마디로 노래미는 상업성이 없어 양식은 쥐노래미로 이루어집니다. 

 

노래미는 주로 암초 지대에 서식하며 몸길이는 30cm까지 자라며, 큰 개체는 쥐노래미의 경우 50~60cm까지 자라기도 합니다.

 

색상은 사는 곳에 따라 적색, 검정, 황색 등 다양한 편이며, 식용으로 자주 쓰이는 흰 살 생선으로 담백한 맛과 쫄깃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대한민국과 일본 근해에서만 분포해 있으며, 염도가 낮은 암초 지대를 선호합니다. 부레가 없기 때문에 헤엄을 치다가 멈추면 가라앉으므로 보통 바닥 가까이에 활동합니다.

 

쏨뱅이목 쥐노래미과의 생선들은 살에 수분이 많은 편이어서 회로 먹을 때 살이 무를 수 있으니, 물기를 충분히 키친타월등으로 흡수해 내고 뽀송하게 만든 뒤 먹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우럭보다는 살이 무르기 때문에 숙성회보다는 활어회로 먹는 편입니다. 

 

쥐노래미(놀래미)와 자주 혼동되는 어종인데, 일반인들은 쥐노래미와 노래미를 쉽게 구분하지 못하며, 일반인만 구별 못 하는 것이 아니고 현지에서도 그냥 뭉뚱그려서 놀래미 또는 돌삼치, 돌참치(강원도), 게르치(부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크기와 무늬가 다르다고는 하지만, 크기야 성장 정도에 따라 다르고 무늬도 사는 데 따라 변이가 많이 있는 것이고 지느러미도 크게 다르지는 않기에 두 가지를 같이 놓고 보지 않으면 쉽게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쥐노래미와의 구분법

1. 쥐노래미는 체장 20cm 미만이거나, 노래미 금어기인 11월 1일~12월 31일까지는 포획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 하지만 노래미는 금어기가 따로 없습니다. 

- 노래미가 쥐노래미보다 크기가 작고 유통량이 적으므로 시중에 유통되는 건 대부분 양식 쥐노래미로 보면 됩니다. 

 

노래미-쥐노래미
노래미와 쥐노래미의 구분법

 

 

2. 보통 조기어류들은 옆줄이 한 줄로 나 있지만 쥐노래미는 측선(옆줄)이 다섯 줄이나 됩니다. 

- 노래미는 한 줄입니다.

 

3. 평균적으로 쥐노래미가 노래미보다 사이즈가 큰 편이며, 같은 사이즈를 놓고 보면 쥐노래미의 입의 크기가 노래미보다 큰 편입니다.

 

4. 쥐노래미의 꼬리지느러미는 일자(I) 아니면, (<) 모양인 반면, 노래미의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 ())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5. 쥐노래미는 노래미에 비해 살도 많고 맛도 좋아서 횟감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거기다 성장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양식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반면 노래미는 상업성이 떨어져 양식을 하지 않고 자연산으로 많이 유통되며 산지에서 거의 소비되는 편입니다. 

 

6. 쥐노래미는 서식지에 따라 몸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몸 색깔이 비슷한 쥐노래미가 많은 수조라면 양식 쥐노래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자연산 노래미는 서식지가 제각기 달라서 서로 다른 몸 색깔을 띱니다. 

 

바다낚시를 하면 심심치 않게 낚이는 것이 쥐노래미와 노래미입니다. 둘 다 먹성이 좋아 미끼를 보면 달려드는 성질이 있습니다. 잡은 미끼도 쉽게 놓치지 않아서 낚시하기가 비교적 쉬운 편이어서 낚시 입문자들에게 많이 추천되는 어종입니다.

 

쥐노래미는 영역 의식이 강해서 노래미가 오면 쫓아내곤 합니다. 그래서 한 포인트에서 쥐노래미와 노래미가 동시에 잡히는 경우는 드문 편입니다.

 

놀래기 

놀래미는 흔히 쥐노래미를 지칭하는데 반해, 놀래기는 노래미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지만 엄연히 다른 종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주로 남해와 남해에서 볼 수 있는 어종으로는 놀래기, 황놀래기, 용치놀래기, 어랭놀래기 4종류를 말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 연안에서는 매우 흔하며 상업성도 크게는 없는 어종이라 큼지막하고 귀한 생선을 잡고 싶어 하는 낚시꾼들한테는 잡어로 취급받는 성가신 녀석으로도 통합니다.

 

하지만 색상이 매우 화려해서 막상 보면 어린아이들은 관상용으로 한 번쯤은 기르고 싶어 하는 유혹을 뿌리치기가 어려운 물고기입니다.

 

 

크기가 다소 작고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구하기는 어려운 생선이지만, 매운탕이나 회로 먹어도 맛은 아주 좋아서 사실 숨은 보물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개체수가 상당히 많고, 예쁘며, 먹성이 좋아 잡기 쉬운 물고기라 초보낚시꾼들한테는 제법 매력적인 어종입니다. 

 

임연수어

역시 쏨뱅이목 쥐노래미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함경북도의 임연수(林延壽)란 사람이 잘 낚아 사람들이 임연수가 낚았던 생선이라고 부르던 것이 이름으로 굳어 임연수어(林延壽魚)가 되었다고 합니다.

 

평안도 방언으로는 이민수, 강원도 방언으로는 새치, 약칭으로 이면수라고도 부릅니다. 

 

몸길이는 45~50cm가량으로 모양이 쥐노래미와 비슷하나 꼬리 자루가 가늘고 머리가 작으며, 몸빛은 노랑 바탕에 다섯 줄의 검은색 가로 줄무늬가 큰 특징입니다.

 

식용으로 껍질 부분이 두꺼워 구워 먹으면 껍질이 맛있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살 주위에 가시가 많아 주의해야 합니다.

 

- 살이 부드럽고 비린내가 적은 흰 살 생선으로 주로 구이로 많이 먹는데 껍질이 맛있어서 "임연수어쌈 먹다가 천석꾼이 망했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입니다.

임연수어의 껍질 부분은 타 물고기에 비해 굉장히 두껍고 불에 잘 타지 않으며 오히려 쫄깃한 데다 바삭하고 고소하기까지 하지만, 가끔 껍질에 붙어버린 측면 가시가 납작하게 숨어서 딸려 올라오므로 아이들에게 먹일 때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고등어, 갈치, 삼치, 굴비 같은 국민생선들에 밀려 인기가 별로 없는 편이고, 인지도도 낮은 편이지만 근해에서 국내산 임연수어만 먹던 시절에는 고소하고 기름진 맛에 대접이 제법 좋았습니다.

 

하지만, 값싼 수입 임연수어가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평판이 많이 내려간 실정입니다.

 

기름지고 자체적인 감칠맛이 강한 고등어나 연하고 발라먹기 쉬운 갈치 같은 것을 먹다가 푸석푸석한 수입산 냉동 임연수어를 맞닥뜨리면 밍밍하고 특별한 맛이 없으니 처음 먹는 사람들에게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해서 주로 학교나 군대나 직장 등의 대량급식의 식재료로 활용되는 편입니다.

 

볼락-종류-특징
볼락 종류별 특징 자세히 알아보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