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적설량 강설량 최심적설량 최심신적설량 뜻 역대 폭설 순위

by 로드킴 2023. 12. 20.
반응형

눈은 기상현상의 한 종류로 기온이 섭씨 0도 아래로 떨어질 때 구름 안의 물 입잖아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서 결정화되어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은 적설량, 강설량, 최심적설량, 최심신적설량 등의 용어 뜻과 우리나라 역대 폭설 순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적설량
적설량

 

눈이란?

눈은 주로 얼음 결정이나 얼음 조각으로 이루어진 얼음의 결정체로 구성된 강설체입니다.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작은 얼음 결정으로 변하면 이들이 공기 중에서 서로 충돌하고 합쳐져서 눈의 모양을 만듭니다.

눈이 내리는 주된 이유는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얼음 결정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런 얼음 결정들이 공기 중에서 서로 만나면 눈송이로 쌓이게 됩니다. 눈송이는 대개 육각형이며 각기 독특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눈이 내리는 지역과 정도는 대기의 습도, 온도, 기압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눈은 추운 기온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공기가 더 축축한 상태일수록 눈이 더 자주 내릴 수 있습니다.

 

대기 중에 있는 물의 상태 변화가 눈의 형성과 내리는 이유를 설명하는 주된 원리입니다.

 

한반도에 눈이 내리는 원인을 알아보면, 동해안과 서해안에 눈을 내리게 하는 원인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서해안의 경우에는 대기온도와 해수온도의 차이 때문에 눈이 형성되어 내리는 것이 주된 이유인 반면, 동해안의 경우에는 북쪽의 고기압과 남쪽의 저기압 사이에 동풍이 유도되어 동쪽에 위치해 있는 눈 구름이 동해안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눈 구름이 태백산맥을 넘지 못하고 막히게 되면서 동해안에만 폭설을 내리게 됩니다. 

 

폭설이란, 비교적 짧은 시간에 눈이 엄청나게 많이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폭설은 주로 냉대 습윤 기후나 위도가 높은 온난 습윤 기후 지역에서는 겨울이 되면 일상처럼 달고 사는 이벤트이기도 한데, 대한민국에서는 특히 강원도 영동 지방과 울릉도, 전라도 서해안이 폭설로 유명한 편입니다.

 

강원도 영동 지방과 울릉도의 경우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으로 겨울철에 습한 바람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적설량

적설은 관측장송의 주위 지면이 반 이상 눈에 덮였을 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쌓인 눈의 깊이를 적설량이라고 합니다. 

 

즉, 눈이 내린 양이 소량이라면 관측장소의 지면 절반 이상을 덮지 않을 것이기에 이런 경우는 적설로 보지 않습니다.

 

적설량을 측정할 때는 보통 cm 단위를 이용하고 눈이 많이 오는 북부나 울릉도 지역 같은 경우에 특수한 경우에는 m 단위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적설량은 적설량 측정판(적설판)을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그 방법은 지면 위에 놓아둔 판자 위에 쌓인 적설량을 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다음, 다시 판자를 깨끗이 비우고 다시 측정하는 방식으로 합니다. 

 

이 방법으로 측정을 할 때에는 눈이 꾹꾹 눌려 쌓이기 전에 측정해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특정한 곳에 눈이 떨어져 정확도가 낮아질 염려가 있기에 많은 수의 측정판을 사용하게 됩니다. 

 

강설량

어떤 기간 동안 지상에 내린 눈을 물로 환산항 양을 강설량이라고 합니다. 

 

해안 등 저지대에 내린 습기를 머금은 눈의 경우에는 적설량 10cm가 강설량 10mm 정도 됩니다. 하지만, 해안지대와 같이 습한 지역이 아닌 높은 산에 내린 눈은 적설량은 같아도 강설량은 더 적게 나오게 됩니다. 

 

보통 적설양을 강설량으로 환산하면 약 1/10 정도로 보고 있지만, 지대와 지역의 특성에 따라 그 비율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심적설량

적설량을 따지려면 먼저 ‘최심적설량’과 ‘최심신적설량’ 두 용어를 알아야 합니다.

 

‘최심적설량’은 가장 깊었던 적설량으로 하루가 아닌 며칠씩 쌓인 눈의 최대치를 의미하며, ‘최심신적설량’은 이와 달리 하루에 온 눈이 최대로 깊었던 정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이달 11일 대전에 3㎝, 12일 5㎝의 눈이 각각 내렸다면 12일 기준 최심적설량은 8㎝, 최심신적설량은 5㎝가 되는 것입니다.

 

눈의 누적량을 나타내는 최심적설량이 많다는 것은 해당 겨울에 눈이 많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최심신적설량은 하루치 눈을 표시하므로 이 수치가 높더라도 그해 겨울 내내 눈이 많았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역대 폭설 순위

1. 대한민국 역대 최대 최심적설량

기록일 지역 최심적설량
1962.01.31 울릉도 293.6cm
1989.02.26 대관령 188.8cm
1990.02.01 강릉 138.1cm
1969.02.21 속초 123.8cm
2011.02.15 동해 102.9cm

 

2. 대한민국 주요 도시 역대 최심적설량

기록일 지역 최심적설량
1922.03.24 서울 31cm
2005.03.06 부산 37.2cm
1953.01.18 대구 55.4cm
2004.03.05 대전 49cm
2008.01.01 광주 41.9cm

 

 

역대-최저-기온-기록
역대 최저 기온 기록 순위 및 극심한 기온차의 원인 자세히 알아보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