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2 국회의장 권한 역할 임기 선출방식 후보 자격 의전서열 국회의장이란 국가의 입법부인 국회의 대표이자 회의 주재자를 의미합니다. 단원제 국가에서는 한 명이지만 양원제에서는 상하원에 따로 존재하게 됩니다. 오늘은 대한민국 국회의 대표이자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의 수장인 국회의장의 권한, 역할, 임기, 선출방식, 후보자격, 의전서열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회의장이란 국회의장이란 대한민국 국회의 대표이자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의 수장을 말합니다. - 국회의장은 대외적으로 국회를 대표하는 국회 최고기관으로서의 역할과 대내적으로는 국회의 질서유지와 국회사무를 감독하는 역할수행합니다. 국회의장은 국회법에 의거하여 의사진행의 공정성, 중립성을 위하여 당적보유 및 상임위 활동이 금지되지만, 정치관 차이로 인한 탈당을 하는 게 아닌 만큼 임기 만료 후에는 대부분 복당을 .. 2024. 4. 12. 역대 국회의원 선거별 특징 임기 배경 선거 방식의 변화 1부 제1대 제헌국회부터 제21대 국회에 이르기까지 역대 국회의원 선거별 특징에 대하여 1부 ~ 4부로 나누어 알아보려 합니다. 오늘은 제1대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의 각 국회의원 선거별 특이사항, 임기, 의석수, 선거 배경, 선출, 선거 방식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1대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5월 10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5.10 총선거라고도 부릅니다. 투표율은 95.5%를 기록했으며, 한국사에서 최초로 다당제를 정착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사에서 최초로 민주적 방식으로 공직자를 선출한 사례이며, 원래 국회의원 임기는 4년이나 여기서 선출된 제헌 국회의원들에 한하여는 임기가 2년이었습니다. 임기 : 1948년 5월 31일 ~ 1.. 2024. 3. 29. 이전 1 다음